섬유근육통과 운동에 관하여

섬유근육통은 진단이 어려워.. 사실상 환자가 적다?

본헬스 2025. 4. 13. 09:58
반응형

섬유근육통이 흔치 않은 질병처럼 여겨지는 이유는 실제 유병률보다는 진단과 인식의 문제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아요. 몇 가지 이유를 정리해볼게요:


1. 명확한 진단 기준이 부족하고 모호함

  • 섬유근육통은 혈액검사나 MRI 같은 객관적인 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질병이 아님.
  • 진단은 대부분 환자의 통증 호소와 의사의 임상 판단에 의존해서, 다른 질환으로 오해하거나 놓치는 경우가 많아요.

2. 다양한 증상으로 다른 질병과 혼동

  • 피로, 불면, 두통, 우울감, 소화불량, 기억력 저하 등 너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서 우울증, 갑상선 질환,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헷갈리기 쉬움.

3. 대중과 의료진 모두의 낮은 인식

  • 과거에는 ‘심리적인 문제’로 치부되기도 해서, 환자도 증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거나 병원 진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았음.
  • 일부 의료진도 아직까지 섬유근육통에 대한 인식이 낮거나, ‘실체가 모호한 질환’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요.

4. 진단까지 시간이 오래 걸림

  • 국내외 조사에 따르면 섬유근육통 진단까지 평균 2~5년 정도 걸리기도 해요.
  • 진단이 늦어지면서 통계상 숫자가 적어 보이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요.

그래서 실제로는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섬유근육통을 앓고 있음에도, 드러나지 않고 “흔치 않은 질병”처럼 인식되는 거죠.
사실상 만성 통증 질환 중에서는 꽤 흔한 편이에요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