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판막 역류증과 불안정 협심증은 모두 심장과 관련된 중요한 질환으로, 각각의 위험성과 증상, 예후는 다르지만 서로 영향을 주거나 함께 발생할 수도 있어요. 아래에서 각각 설명해드릴게요.
💔 판막 역류증 (Valve Regurgitation)
✔️ 정의
심장의 판막(삼첨판, 승모판, 대동맥판, 폐동맥판)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역류하는 상태입니다.
✔️ 종류
- 승모판 역류증: 좌심방 → 좌심실 간의 판막이 역류함
- 삼첨판 역류증: 우심방 → 우심실 간의 판막이 역류함
- 대동맥판 역류증, 폐동맥판 역류증도 있음
✔️ 위험성
- 심부전: 심장이 피를 제대로 펌프하지 못해 전신으로 산소 공급이 저하됨
- 심방세동: 부정맥 발생 가능성 증가
- 심장 비대: 계속된 부담으로 심장이 비대해짐
- 호흡 곤란, 피로, 부종 등의 증상 유발
- 무증상이라도 진행성이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
💥 불안정 협심증 (Unstable Angina)
✔️ 정의
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막혀서 심장 근육으로 가는 산소 공급이 급격히 줄어드는 상태. 안정 협심증과 달리 휴식 시에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심근경색 전조일 수 있어 응급상태입니다.
✔️ 주요 증상
- 가슴 통증: 쥐어짜는 듯한 통증, 흉부 중앙에서 시작해 목, 턱, 팔로 퍼짐
- 호흡곤란, 식은땀, 어지럼증, 메스꺼움
- 휴식 중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짐
✔️ 위험성
- **심근경색(심장마비)**으로 진행될 수 있음
- 생명 위협 가능성 있음, 즉시 치료 필요
- 혈전 형성으로 관상동맥 완전 폐쇄 가능성 ↑
🧩 함께 발생할 경우
- 판막 역류증이 심해지면 심장의 부담이 증가하고, 심근에 산소가 더 많이 필요해져서 협심증 유발 가능성 증가
- 반대로, 협심증으로 인해 심근 기능이 약화되면 판막 기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음
🩺 관리와 치료
- 약물 치료: 베타 차단제, ACE 억제제, 이뇨제, 항혈소판제 등
- 생활 관리:
- 저염식, 포화지방 제한
- 꾸준한 가벼운 유산소 운동 (의사 상담 후)
- 스트레스 관리
- 금연, 금주
- 정기적 심장초음파 및 심전도 검사
- 수술적 치료: 증상이 심하거나 약물로 조절되지 않을 경우, 판막 수술 또는 관상동맥 중재술(스텐트 삽입 등)이 필요할 수 있음
반응형
'섬유근육통과 운동에 관하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트밀 (귀리) 선식에 관해 (0) | 2025.05.05 |
---|---|
섬유근육통은 진단이 어려워.. 사실상 환자가 적다? (0) | 2025.04.13 |
섬근 관련 콘텐츠가 한계가 왔네요. (0) | 2025.04.04 |
신경계 질환은 완치가 어렵습니다.. (0) | 2025.03.27 |
하지불안 치료 (0) | 2025.03.25 |